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클라우드] 클라우드 종류 : IaaS/PaaS/SaaS, Public/Private/Hybrid, Managed Service 특징 예시 장단점 차이점
    클라우드 2023. 11. 28. 22:01
    반응형
    반응형

     ① IaaS, PaaS, SaaS : 어떤 레이어까지서비스를 제공하느냐(제공영역)에 따라 구분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nfrastructure 레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하드웨어 부분을 제공받는 방식

    - 하드웨어 관리 인력을 보유해야할 필요가 사라짐

    - IaaS와 Pass가 유사하다? IaaS -PaaS - SaaS까지 확장되는 방식으로 클라우드 기술 및 서비스의 진화

    - 일반적으로 적은 OS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OS와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관리해야 함

    ex. AWS에서 제공하는 EC2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플랫폼 및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

    - IaaS에 비해 클라우드 회사가 제공하는 영역이 한단계 더 높은 수준

    - 클라우드 업체가 기업용 S/W를 설치해서 서비스로 제공

    - 특징

    ① 관리 및 운영은 클라우드 업체가 해주기 떄문에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활용 자체에만 집중 : 사용자는 OS, 서버, 네트워크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음

     * IaaS  vs PaaS 

    - IaaS : 사용자가 원하는 S/W를 별도 구매해 언제든 설치

    - PaaS : 서비스에 따라 각 클라우드 회사별로 제약이 있을 수 있음

    ②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플랫폼으로 옮기기 어려울 수 있음

    ex. AWS Elastic Beanstalk, AWS RDS

     

    SaaS(Software as a Service)

    - 사용자의 별도 설치 없이 클라우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됨

    - 특징 

    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로 불러와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음

    ② SaaS에서 제공되는 기능만 사용 가능함

    ③ 인터넷으로 접속해야 하기 떄문에 데이터 보안에 문제가 될 수도 있음

    ex. 구글 드라이브 

     

     

    ②Public, Private, Hybrid : 운영 주체 및 형태(제공방식)에 따른 구분

     

    Public Cloud 

    - 대표적으로 알고 있는 클라우드 회사들이 제공하는 형식

    - 누구나 비용을 지불하면 서비스 사용 가능

    - 사용량 예측이 힘든 서비스에 주로 사용

    장점 단점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한 만큼 비용이 청구됨 모든 기술 스택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
    필요할 때 사용량을 늘릴 수 있음 데이터 보안을 위한 추가적인 기술적인 투자 필요
    서비스를 여러 지역에 분산시켜 관리가 가능함  

     

    Private Cloud

    - 특정 내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아무나 사용할 수 없음

    - 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해왔거나 보안이 중요한 금융권이 선호

    - 전통적IT + 클라우드 장점 

    장점 단점
    모든 기술 스택에 대한 제어가 가능함
    - 네트워크망에 바이러스가 퍼지면 전용선 관리
    - 정전 발생 시 예비전력 전환
    - 하드웨어 제어 및 소프트웨어 커스터마이징
    서버 및 가상화S/W 등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음
    - 전용 제품 추가 구매 
    오랜 시간이 지나면 훨신 더 저렴하게 높은 보안의 서비스 구축 가능  모니터링과 관리를 위해 기술 투자가 지속적으로 발생

     

     

    Hybrid Cloud

    - Public Cloud와 Private Cloud를 같이 운영하는 모델

    장점 단점
    높은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는 Privae Cloud로, 사용량이 많이 변하는 서비스는 Public Cloud로 사용 Private Cloud 보다 운영의 난이도가 더 높아짐
    필요에 따라 서비스들을 옮기면서 사용 가능
    -  서비스의 사용량 예측이 어려운 경우(Public Cloud 사용) >> 서비스 사용량이 고정적으로 된 경우(Private Cloud로 이관)
    Public Cloud의 데이터 반출 요금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들의 확실한 분리 필요
       Private Cloud와 Public Cloud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데이 추가적인 기술 투자 필요

     

    ③ Managed Service : As a Service('사용자가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 에 내재화된 개념

    - 사용자 선택에 따라 클라우드 업체의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범위가 달라짐

     

    - 사용자는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모두 서비스로 제공받아 사용

    장점 단점
    한 번의 클릭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빠르게 업무에 도입 가능 특정 서비스에 종속될 수 있음(Lock-in 효과)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기술력 또는 인력이 없더라도 사용 가능 Managed 되고 있는 영역에 대해 접근이 제약적임
    다양한 API를 지원하여 개발, 테스트 및 배포 프로세스를 쉽고 빠르게 확보할 수 있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