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버레이 설정: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도/매수 시점금융 2020. 3. 30. 22:29반응형
오늘은 매물대에 이어서 볼린저밴드에 대해 공부하였다.
간단하게 한화투자증권 MTS의 오버레이에 들어가서 볼린저밴드를 설정해보았다.
볼린저밴드는 실전에서 정말 많이 쓰인다고 말하는데
지금 찾아보았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 후,
주가가 95%의 확률로 상한선과 하한선 안에서 움직임을 가정한다.
내기억에 수업시간에 주가는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은 아니라고 배웠는데, 흠
우선 볼린저 밴드를 보기 위해서
한화투자증권 MTS 들어간 후, 설정하였다.
이동평균은 20일선, 표준편차는 2로 잡았다.
표준편차는 2인데, 왜 95%인 이유?
표준정규분포(종 모양)에서 중앙값을 기준으로 -1.96/1.96 각각 95%의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자세한건 통계시간이나 수학시간에 배울수 있다.
굵기는 가장 두껍게, 색은 파스텔톤.
상한선은 회색, 하한선은 연보라색
볼린저밴드는 분봉, 주봉, 일봉 모두 활용될 수 있으나(?)
단타를 하려면 당연히 분봉을 살펴보는것이 좋다.
볼린저밴드에서 매수와 매도시점을 잡는 방법은
밴드의 폭과 하한선과 상한선을 살펴보면 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가격이 하락하면 매수하고, 가격이 상승하면 매도하지만
볼린저밴드는 반대로 움직인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밴드의 폭이 매우 좁을 때, 즉 주가가 횡보하다가 폭이 넓어지는경우
밴드의 하한선을 돌파(하락)하면 매도시점,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상승)하면 매수시점이다.
그외 다른 여러가지 거래량과 중심선 함께 사용하기도 하는데
거래량은 당연히 상한선과 하한선을 돌파할때, 살펴보기 때문에 넣지 않았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하한선과 상한선이므로 이것만으로도 추가지표는
조금 더 공부한 후에 업데이트 해야지.
반응형'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투자기구 :: 펀드의 의미와 펀드의 구조 (0) 2020.07.30 보조지표 : 스토캐스틱 간단하게 매수/매도 시점 파악 (0) 2020.04.02 이동평균선과 배열, 주식차트의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2020.03.24 양봉과 음봉 주식 차트 읽기, 매수/매도시점? (0) 2020.03.23 통화스와프, 환율과 주가/경제의 관계, 환율의 영향 (0) 202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