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조지표 : 스토캐스틱 간단하게 매수/매도 시점 파악금융 2020. 4. 2. 23:52반응형
MTS로 보조지표 공부하기 (몇탄인지 모르겠다.)
오늘의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중 하나인 스토캐스틱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스토캐스틱은 대표적인 모멘텀지표로 일정기간동안의 가격변동 폭과 현재 주가의 관계를 백분율로 표현한 지표이면서 매매시점을 알기위해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한화투자증권 지표설정에서 보면 두가지의 스토캐스틱을 볼 수 있다.
Stochastic fast 과 Stochastic slow 인데, 전자는민감하여 후자에 비해 거짓신호 발생 확률이 높다.
그래서 주로 사용하는 지표가 Stochastic slow지표인데, 단기매매로 Stochastic fast 사용하기도 한다.
차트를 보기전 Stochastic slow선에 (10,6,6)으로 설정을 바꾸어 주었다. 현재는 (5,3,3)으로 보는중
보통 (5,3,3), (10,6,6), (20,12,12)를 사용 한다.
Stochastic slow선은 %K선과 %D선으로 구성되어있다. 의미는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살펴보면
%K선은 Fast %D선을 특정기간 이동편균한 것이며 %D선은 %K선의 특정기간 이동평균을 의미한다.
기준선은 20과 80으로 설정하였다. 보통 20이하이면 과매도상태, 80이상이면 과매수상태이다.
스토캐스틱을 활용방법
첫번 째, 과매수 상태에서, 기준선80을 하향돌파한다면 매도를,
과매도 상태에서 기준선 20을 상향돌파한다면 매수를 고려한다.
두번 째, %K가 %D를 상향돌파하면 매수를 고려하며,
%K가 %D를 하향돌파하면 매도를 고려한다.
세번 째, Higne 발생시 추세가 바뀔 가능성이 상승한다.
(Hinge란 80이상, 20 이하에서 %K선이 갑자기움직임이 둔화될 때를 의미)
네번 째, failure 발생시 추세 강화 가능성 매우 높다.
(failure란 20이하, 80이상인 상태에서 한번의 교차후, 또다시 교차함을 의미)
다섯번 째, 다이버전스 (반대매매), 추세전환의신호
임의로 기준선 대략 50(에 가까이 그리려고 했으나 실패) 선을 그리고,
50기준으로 매수/하락 매도시점을 파악하는 방법도 있었다. (상승 매수, 하락 매도)
스토캐스틱이 넘 어려워서 이해하는데, 책만 여러개 읽고 인강도 보고, 많은 시간 걸렸다.
그래서 오늘은 이론만 정리했다.(조만간 다시 공부하고 수정할 예정)
스토캐스틱 공부해도 왜이렇게 어렵다는 생각만 드는지.
한화투자증권 MTS에서 매매신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것을 참고해도 좋을 듯하다.
화살표가 매매신호.
보조지표는 보조적인 역할일 뿐, 후행지표이므로 절대적인 맹신은 금지.
반응형'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투자기구 :: 펀드의 종류 (모자펀드, 환매금지펀드, ETF 등) (0) 2020.07.30 집합투자기구 :: 펀드의 의미와 펀드의 구조 (0) 2020.07.30 오버레이 설정: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도/매수 시점 (0) 2020.03.30 이동평균선과 배열, 주식차트의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2020.03.24 양봉과 음봉 주식 차트 읽기, 매수/매도시점? (0)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