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합투자기구 :: 펀드의 의미와 펀드의 구조금융 2020. 7. 30. 00:15반응형
- 집합투자기구란?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용어로 말하면 "펀드"라고 한다.
2인이상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금전을 일상적인 운용지시를 받지 아니하면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투자대상자산을 취득, 처분, 그밖의 방법으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귀속시키는 것.
여기서 중요한 것은 "2인 이상"이라는 점과 "일상적인 운용지시를 받지 아니하면서"라는 점이다. 즉, 1명이면 안되고 누군가에게 운용지시를 받는다면 펀드라고 말할 수 없다.
- 집합투자기구의 법적형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는 펀드의 법적 형태를 투자신탁, 투자회사, 투자조합, 투자유한회사, 투자합자회사, 익명조합까지 인정하고 있음
투자신탁은 신탁업자가 집합투자업자로부터 위탁받아 운용하는 형태, 투자회사는 상법상 주식회사의 형태, 투자조합은 민법상 조합형태, 투자유한회사는 상법상 유한회사 형태, 투자합자회사는 상법상 합자회사 형태, 투자익명조합은 상법상 익명조합의 형태이다.
- 투자신탁의 구조
교육 중에 많이 강조된 내용이므로 꼭 알아두자.
우리나라의 집합투자기구의 법적형태 대부분인 투자신탁의 구조를 살펴보면, 집합투자업자가 신탁업자와 신탁계약을 체결하고, 집합투자증권을 투자자에게 판매하여 모은 재산을 집합투자업자가 투자,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귀속시키는 구조이다.
- 투자회사의 구조
투자회사는 투자매매업자와 신탁업자, 집합투자업자 사이에 주식회사(투자회사)를 설립한다. 여기서 주식회사는 보통 paper company의 성격이며 투자자는 주주가 되는 것이다. 보통 뮤추얼펀드라고 지칭한다.
참고로 뮤추얼펀드는 두가지의 의미가 있는데, 상품명으로서 뮤추얼펀드와 구조로서 뮤추얼펀드 두가지가 있다.
반응형'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펀드 금융사고 : 옵티머스 사태 쉽게 이해하기 (0) 2020.07.31 집합투자기구 :: 펀드의 종류 (모자펀드, 환매금지펀드, ETF 등) (0) 2020.07.30 보조지표 : 스토캐스틱 간단하게 매수/매도 시점 파악 (0) 2020.04.02 오버레이 설정: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도/매수 시점 (0) 2020.03.30 이동평균선과 배열, 주식차트의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2020.03.24